벌꿀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7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스페인 동굴벽화에서부터 라고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BC3200년경) 문자에서는 꿀벌의 모양이 왕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어 왔고 왕의 피라미드에도 꿀단지를 함께 넣어 벌꿀의 귀중함을 나타내었다.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히포크라테스는 열이 날 때 벌꿀을 권유했다고 기록하고
있어 벌꿀을 의학용으로 사용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기원전 600년경 고대 그리이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꿀벌의 상태를 연구
하여 그 습성을 이미 기록해 놓았으며,「일본서기」에 보면 백제의 태자 「여풍」에
의하여 일본에 양봉이 전해졌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에 이미 양봉이 활성화 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성경에는 하나님이 가라고 명한 가나안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선택받은 곳으로 묘사할 만큼 벌꿀은 온 인류가 오래전부터 귀하게 애용하여 온 자연건강식품인 것을 알 수 있다.(Water White)의 꿀이다.
벌꿀은 식물의 밀선에서 분비하는 물질을 일벌이 수집하여 벌집에서 증발.
농축시켜 그들의 식량으로 저장해 놓은 것을 말한다.
1930년 필립(Phillips)이라는 학자는「벌꿀이란 꿀벌이 여러 식물의 밀선에서 수집한 향기롭고 점조성(粘稠性)이 있는 단 물질인데, 꿀벌 등에 의하여 그들의 식량으로 전화(轉化)되어 벌집내에 저장된 것으로 산성반응을 나타내며 2개의 단당류로 되어 있고 때로는 더 복잡한 탄수화물, 무기물, 식물성 색소, 효소 및 화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 하였으며,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는 보다 간단하게「벌꿀이라 함은 꿀벌들이
꽃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숙성한 것을 말한다.」고 정의 되어있다.벌꿀의 채취원은 수목과 식물들의 화밀에 있으므로 밀원(蜜源)종류에 따라 '아카시아꿀', '유채꿀' '밤꿀'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들은 맛과 향미, 외양이 각각 다르고 세계적으로 최고급품으로 취급하는 건 '아카시아꿀'과 같이 물같이 맑은 색깔입니다
(1)고대양봉 : 동양종꿀벌(Apis cerana) : 토종벌 도입시대
(2)근대양봉 :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도입이후
구한말 고종시대 : 봉파 윤신영(1910)과 Kugelegn(1917) 신부에 의해 독일에서 도입
(3)현대양봉 : 1960년대 이후
(4)한국의 양봉황금시대 (1935년경)
사영군수 201,063 (재래종 82%, 개량종18%)
고대 양봉 |
동양종꿀벌 (토종) (Apis indica) 사양시대 | ||
---|---|---|---|
삼국시대 | BC 58~15 643년 720년 |
인도→중국→고구려 시조 태몽(동명성왕)→도입 백제 태자 여풍 -강원도 영월-단양지역에서 직접 백제로부터 토종사양기술 전수 (일본 서기) | |
고려시대 | 918~1392 1145 1192 |
-꿀벌산물은 사찰운영에 주 수입자원 - 목밀, 석밀채취 성행 (삼국사기, 김부식) -일반민가 벌꿀 사용 금지령 |
|
조선시대 | 1481 1613 |
제주도와 섬 지방을 제외한 모든지역 벌꿀 생산(성종12년, 동국여승지람) 벌꿀, 밀랍, 번데기는 영약 |
|
근대 양봉 |
서양종꿀벌(Apis mellifera ligustica)도입과 라식벌통 사양 시대 | ||
대한제국 | 1904 1917 1918 1935 |
윤신영(양봉인)→독일서 8년간 연수 후 귀국(1910)시에 벌통 도입, 한국최초양봉전문서“실험양봉” 출판(1917), 중앙서간 구걸근(Kugelgen)신부→일본→(1910)입국, 재입국(1917) 시 이탈리안종, 코카시안종 도입 이근영(양봉전문가)-최초양봉전문책자“양봉신편”(1918)출간, 국천서장 고영호(고려양봉원대표)-최초 양봉 관련 기구 일체 공급회사 설립 |
|
현대 양봉 |
동양종꿀벌 (토종) (Apis indica) 사양시대 | ||
대한민국 | 1948 | 고영호(고려양봉원 대표)-농림부 제2농부국 양봉계장 역임 | |
단체발족 | 1961 1967 |
한국양봉협동조합설립, (사)한국양봉협회 발족 (1977년 농림부 인가) | |
국제양봉 회원가입 |
1973 1980 |
제24차 대회:한국양봉협회 정회원가입 제27차 대회:한국양봉농협 정회원가입(2011년 재가입) |
|
학회창립 | 1985 | 한국양봉학회 발족(서울대 농대 응용곤충학전공 내 학회 사무실) | |
종봉도입 | 1963 1967 |
농촌진흥청 축산시험장, 캘리포니아 농업시험장에서 테르백 이탈리안종 여왕벌 20마리 도입 동아양봉원대표(신정환), 캐나다 온타리오대학 양봉학과에서 인공 수정한 아나톨리안종과 카니올안종 여왕벌 각각2마리씩 도입 |
|
양봉전문지 발간 | 1965 1967 |
-양봉농협조합, 월간“꿀벌” 창간 -동아양봉원 대표 신장환, 신필교 월간“양봉계”지 발간 -한국양봉협회, 양봉협회보“월간양봉” |
|
국제기술 교류 |
1986 | 서울대학교 최승윤 교수, 강원농원 이창수 대표,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 양봉연구실과 캐나다 알바타 대학 양봉연구실과 종봉 정보교류 사업으로 얄타품종 여왕 200마리와 이탈리안종 100마리 수입 |